본문 바로가기

공부법

특수교사 임용시험 - 1 (임용시험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나?)

반응형

 

특수교사 임용시험 - 1 (임용시험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나?)

 

 

임용시험 어디서부터 확인해야 할까?

 

일단 공부하기로 마음을 먹었으면 이 시험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보통 자신이 즐겨 찾는 커뮤니티로 들어가서 질문을 남기거나 이미 작성된 글들 

혹은 합격생의 후기를 찾아보는 것이 대부분이다.

 

위의 방법이 직관적이고 빠르고 이해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치명적인 단점도 있다.

바로 잘못된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는 것

 

 

 

잘못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의도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 것이다.

그렇다면 뭐가 잘못된 정보일 수 있다는 것인가??

 

 

 

첫 번째로는 '시간' 이다.

 

임용시험은 계속해서 바뀐다.

세부적인 시험 규칙부터 시작하여 전반적인 시험의 틀까지 모두 바뀔 수 있다.

예로 한 때 초등 특수교사 임용시험은 총 3차로 1차는 교육학, 2차는 전공, 3차는 수업실연 및 면접으로 되어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1차는 교직논술 및 전공, 2차는 수업실연 및 면접 으로 단축되었다.

 

또한 예전에는 5지 선다 형 객관식 문제이던 것이 지금은 모두 서술형으로 변경되었다.

 

 

 

 

둘째로 '지역'이다.

 

앞에서 말했듯 임용시험은 계속해서 변한다.

예전에는 중앙정부에서 일률적으로 교사를 선발하였지만

요즘에는 지방 정부에 권한을 많이 위임하였다.

 

그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 중 하나가 2차 시험이다.

예전에 2차 시험은 '교육과정 평가원'에서 출제하여 모든 지역이 동일한 문제로 시험을 치렀다.

그러나 이제는 각 지역 교육청에서 자신의 지역 교육철학과 알맞은 교사를 선발하고자 

2차 시험을 자체 출제하는 지역이 많아졌다.

 

위와 같은 이유들 때문에 커뮤니티에서 합격수기나 정보를 얻을 때는 

언제 작성된 것인지, 어느 지역에 대한 내용인지 잘 확인해봐야 한다.

이 블로그도 언제 작성된 것인지 잘 확인해야 잘 못된 정보를 줄일 수 있다.

 

그럼 어떻게 안전한 정보를 얻어야 할까?

 

바로 출제 기관에서 정보를 얻는 것!! 

이것이 제일 확실하다, 우리나라 교사 임용시험을 주관하는 기관은 '교육과정 평가원'이다.

 

 

교육과정 평가원에서는 매년 교사 임용시험 공고를 내며 여기에 전반적으로 자세한 사항이 나와 있다.

이 사이트에 처음 들어가면 도대체 정보는 어디 있는지 한참 찾다가 지쳐 나가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런 분들을 위해 한번 정리해 보았다.

 

교유과정 평가원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1. 연도별 기출문제 

2. 시험 범위 및 채점 절차

3. 시험 규칙

4. 시험지 양식

 

위의 자료들을 아주 깔끔하게 얻을 수 있다.

다음 글에서는 위의 내용들을 어디서 찾을 수 있을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반응형